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인문학의 하위분야 (언어학)

by foxjemma 2023. 4. 24.
반응형

인문학의 하위 분야 (언어학)

인문학의 하위분야. 언어학의 정의는 언어와 그것의 사용, 구조, 기원, 변화, 인지, 사회 및 문화적 의미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언어학은 사람들이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언어의 음성, 형태, 구문 및 의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포함하고, 다양한 언어 체계의 공통점, 차이점을 발견, 이해하고 탐구합니다.

 

썸네일

 

언어학의 연구와 역사적 전개

언어학의 연구와 역사적 전개는 인간의 언어능력, 언어현상, 그리고 언어 체계의 특성 등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연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언어학의 역사는 인류 역사의 초기부터 시작되었으며,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인류 역사의 초기부터 언어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그것은 언어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기원전 4세기경에는 인도의 브라만교에서 언어의 구조와 의미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이 개발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기원전 3세기경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언어론적 접근법이 대두되었으며, 중세에는 유럽에서 문법 규칙과 언어 사용법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20세기 이후에는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다양한 언어학적 이론들을 제시하면서 언어학은 다양한 분야와 관련하여 진화해 왔고, 현재 언어학은 사회언어학, 인지언어학, 신경언어학, 기능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여 발전해 오면서, 인간의 언어능력과 언어현상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있는 학문분야입니다.

 

언어학의 연구대상에 따른 분류

 

언어학의 연구대상에 따른 분류는 언어 체계론, 개별언어, 기술 언어,  기능언어학등이 있으며, 분석 대상에 따른 분류는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의미론, 인지 언어학등이 있고, 문법론적 방법에 따른 분류는 선어말론, 비교어문학, 역사 언어학, 사회 언어학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분류 방법이 있지만, 언어학은 다양한 분야와 학문들을 통합하는 면이 있으며, 이들이 상호 작용하면서 언어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심리 언어학(Psycholinguistics)

심리 언어학(Psycholinguistics)은 언어학과 심리학을 접목한 분야로 언어 이해와 생성에 대한 인지과정을 다룹니다. 이 분야는 인간 언어 이해 및 생성에 대한 인지 과정, 언어적 지식과 언어 이해와 생성 능력의 발달, 언어장애 등을 연구합니다. 심리 언어학은 말하는 인간의 언어 이해 및 생성 과정을 모델링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 모델은 인간이 어떻게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지를 설명하는 계산 모형을 구성합니다. 예를 들어, 구문론적 구조, 언어적 기호 처리, 의미 연관성 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언어 이해 및 생성 과정을 모델링합니다. 심리 언어학의 연구 주제에는 언어의 음성, 언어의 의미, 문법, 읽기 및 쓰기 등이 포함됩니다. 이 분야에서 다루는 주요 이론에는 언어생성 이론, 언어이해 이론, 뇌신경언어학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인간의 언어 이해 및 생성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고 언어 학습, 언어장애 진단 및 치료 등에 큰 도움이 됩니다.

 

컴퓨터 언어학(Computational Linguistics)

컴퓨터 언어학(Computational Linguistics)은 인간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와 관련이 있으며, 인간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컴퓨터 언어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며, 검색 엔진에서 검색어와 문서를 비교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며, 챗봇과 같은 인공지능 에이전트에서는 대화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기계번역, 문서분류, 문서 요약 등과 같은 언어 처리 작업에서도 사용됩니다. 컴퓨터 언어학은 주로 통계적 자연어처리와 규칙 기반 자연어처리로 나뉩니다. 통계적 자연어처리는 자연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 모델을 만들고, 이를 통해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규칙 기반 자연어처리는 문법 규칙과 같은 사전 지식을 사용하여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컴퓨터 언어학의 연구 주제에는 언어 모델링 언어 이해, 문서 분석, 기계번역, 대화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 다루는 주요 이론에는 구문 분석, 의미 분석, 담화 분석, 기계학습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자연어처리 시스템을 구현하고, 성능을 향상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언어학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언어학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인 차미스키(Noam Chomsky):미국의 언어학자로, 현대 언어학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사람입니다 '생성 문법'이론 등으로 유명합니다. 에드워드 사피어(Edward Sapir):캐나다 출신의 언어학자로, 사회언어학과 비교언어학 분야에서 기여했습니다.'사피어-워프 가설'과 '세 미어-워프 가설'로 유명합니다. 페르디난드 드 소시유(Ferdinand de Saussure):스위스의 언어학자로, 현대 언어학의 창시자 중 한 사람입니다.'음운론학', '문법학', '의미론'등으로 분야를  발전시켰습니다.

로마 잭슨(Roman Jakobson):러시아 출신의 언어학자로, 구조주의적 분석 방법을 적용한 '구조주의'이론으로 유명합니다.

마이클 홀랜드(Michael Halliday):영국의 언어학자로 사회언어학과 기능언어학 분야에서 기여했습니다.'시스템 기능 언어학'으로 유명합니다. 윌리엄 래보브(William Labov):미국의 언어학자로, 사회언어학 분야에서 기여했습니다. '사회 언어학 연구법'으로 유명합니다. 스티븐 크라센(Steven Pinker):캐나다 출신의 언어학자로, 언어, 인지과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문학의 하위분야(언어학)  (0) 2023.04.24
인문학의 하위분야(철학)  (0) 2023.04.24
인문학의 하위분야 (사회학)  (0) 2023.04.24
인문학의 하위분야 (역사학)  (0) 2023.04.24
인문학이란?  (0) 2023.04.24

댓글